경제 리포트/종목 분석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전망, ESS 수요와 IRA 개편에 달렸다

smartlivingtips 2025. 7. 15.

LG에너지솔루션, 지금 투자 매력은 어느 정도일까?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주가가 30만 원 초반대까지 내려오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추가 매수 타이밍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미국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확대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개편, 그리고 리튬 등 원자재 가격 변동이 향후 주가를
좌우할 주요 변수로 꼽히는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의 현재 주가 흐름, 주요 증권사
전망, 향후 리스크 요인과 투자전략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주가 30만원 초반대, 52주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2025년 7월 9일 기준
305,0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연초 43만 원대
고점 대비 30% 이상 떨어진 수준입니다. 최근 6개월
수익률은 코스피 대비 –26.4%로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였으며, 외국인 순매도도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구분 수치

현재 주가 305,000원
52주 고가 436,500원
52주 저가 268,000원
최근 6개월 수익률 –26.4%

증권사 목표주가 평균 39만원, 상승여력 약 28%

 

현재 주요 증권사들의 목표주가는 335,000원에서
430,000원 사이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평균은 약
391,000원으로 현재 주가 대비 28% 가량의 상승
여력이 있는 셈입니다. 다만 투자의견은 BUY(매수)와
HOLD(보유)가 혼재되어 신중론도 상당합니다.

 

증권사 투자의견 목표주가(원)

삼성증권(6월) HOLD 335,000
iM증권(7월) BUY 400,000
유진투자증권(1월) BUY 430,000
KB증권(7월) BUY 410,000

 


IRA 전기차 보조금 축소, 배터리 수요 성장률도 둔화

오는 9월 미국 IRA 법안에서 전기차 개인 보조금
7,500달러가 중단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북미
전기차 배터리 수요 성장률 전망도 기존 연평균
23%에서 16%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이로 인해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출하 증가 속도도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미국 ESS 공장 가동 본격화, 관세·세액공제로 수익성 방어

반면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은 미국 공장
16.5GWh 추가 가동이 하반기 예정되어 있습니다.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혜택도 적용되면서
ESS 사업은 향후 LG에너지솔루션의 중요한
캐시카우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관세 강화가
추진되면 미국 내 LG에너지솔루션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더 부각될 수 있습니다.

 


리튬·니켈 가격 변동성, 공급망 리스크도 변수

최근 리튬 가격이 재차 반등하며 원가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국과 미국 간 공급망 규제 강화도
추가 리스크로 지목됩니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은
인도네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어 일부 리스크는 분산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기술 경쟁력, 대형 원통형 배터리로 승부수

LG에너지솔루션은 46시리즈 대형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추진하면서 테슬라 외 완성차 업체와의
공급망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이 제품이 고효율·저비용 특성을 앞세워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경우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중장기 성장동력 유효, 가격 부담 완화 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결국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단기적으로
IRA 보조금 축소, 리튬 가격 반등 등으로
출렁일 가능성이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ESS 시장 확대와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재도약할 여력이 충분합니다.

평균 목표주가(391,000원) 기준 약 28%의
업사이드가 열려 있으나, 미국 IRA 정책
추이와 원자재 가격 흐름에 따라 변동성이
큰 만큼 분할 매수를 통한 대응이
유효해 보입니다.

 



댓글

💲 추천 글